2025년 근로장려금 나이 제한 없어지고 소득 많아도 받을 수 있다
2025년 근로장려금, 나이 제한 없어지고 소득 많아도 받을 수 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근로장려금 제도에 대해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많은 분들이 나이 제한 없어졌다. 소득 많아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으시고 헷갈려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글을 통해 정확한 기준과 꿀팁까지 알아가시기 바랍니다.
1. 근로장려금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신입사원. 공무원. 군인. 경찰 등도 조건만 맞으면 신청 가능
- 60세 이상 어르신도 소득이 있으면 대상 가능
- 대기업 근무자도 연소득 조건만 맞으면 신청 가능
중요 포인트: 작년에 일한 소득이 기준이며, 소득이 갑자기 줄어든 경우 특히 유리합니다.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
2. 소득이 많아도 근로장려금 받을 수 있나요?
예시로 알아볼까요?
- 2025년 8월에 취업한 신입사원
→ 2024년 소득이 거의 없거나 적었다면 신청 가능
- 2024년에 퇴직한 근로자
→ 예전 월급이 높았어도 일한 기간이 짧아 총소득이 낮다면 신청 가능
예: 월 900만 원 받던 직장인이 2달만 일했다면 총소득 1,800만 원 → 신청 대상 가능
3. 근로장려금 신청 안 하면 못 받나요?
- 정기 신청 기간: 5월 1일 ~ 5월 31일
- 기한 후 신청 기간: 6월 1일 ~ 11월 30일 (단, 5% 감액)
신청 방법
- 모바일 홈택스 앱
- 홈택스 웹사이트
- ARS(전화) → 아주 간단하게 신청 가능해요.
자동 신청 제도도 있는데요, 65세 이상, 중증 장애인은 동의만 하면 2년간 자동 신청 가능!
4. 가구 유형별 지급 금액은 어떻게 되나요?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별 소득 기준과 지급 금액이 다릅니다.
가구 유형 / 총소득 기준 / 최대 지급액
- 단독 가구 / 2,200만 원 이하 /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 3,200만 원 이하 /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 3,800만 원 이하 / 330만 원
자녀 장려금도 있어요!
- 18세 미만 자녀 1명당 최대 100만 원
- 단, 총소득 7천만 원 이하여야 함
5. 근로장려금 꿀팁 대방출!
- 단독 가구: 소득 400만 ~ 900만 원 → 최대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700만 ~ 1,400만 원 → 최대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800만 ~ 1,700만 원 → 최대 330만 원
추가 꿀팁
- 노인 일자리·알바로 5만 원 이상 소득 있으면 신청 가능
- 소득은 꼭 국세청에 신고되어야 유효
- 자영업자는 업종별 소득 조정률 확인 필요 (예: 도매업 20%)
- 재산이 1억 7천만 원~2억 4천만 원 사이 → 지급액 50%로 줄어듬
- 압류 방지: 185만 원까지 압류 불가. 압류 방지 통장 활용 추천
6. 이런 경우는 신청할 수 없습니다!
몇 가지 예외 조건이 있습니다.
- 대한민국 국적이 없는 경우 (단, 올해 귀화하면 내년부터 가능)
- 변호사, 의사 등 전문직 종사자
- 타인의 부양 자녀로 등록된 경우
- 실업급여만 수령한 경우 (소득으로 인정 안 됨)
단, 한국인 배우자나 한국 국적 자녀가 있는 외국인은 신청 가능할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2025년 근로장려금은 더 많은 분들이 신청할 수 있도록 문턱이 낮아졌습니다
소득이 줄어든 시기였다면 꼭 확인해보시고,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